이 발표는 괌 지역의 경제 성장에 관광산업이 기여한 것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지역 건설회사, 환경 서비스 회사, 시설물 유지 관리 업체, 식품, 행정 사무업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미군 제3해병원정대 사령부의 이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한 계량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은 재정의 실재적인 투입과 시기의 불활실성 때문에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다음 표는 미군이 발표한 제3해병원정대 이전 일정표다.

현재 미군이 보유하고 있는 괌의 토지는 39,000 에이커로 괌 지역 전체 토지의 29%에 달한다. 향후 미군의 확장은 토지를 추가 매입하지 않고 현재 보유한 토지에서 충당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괌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토지가 전체 19%이기 때문에 미군 기지가 이전하다고 해도 군용 기지의 토지가 부족한 일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미 괌에 자리를 잡고 있는 해군사령부는 괌 해군사령부, 섬 남부의 해군보급기지, 해군병원, 니미츠 힐 병원, 배리가다(Barrigada) 해군통신센터, 해군전자통신센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해군 4,400명과 가족 7,500여명 등 총 11,900여명의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군은 섬 북쪽과 남쪽에 각각 앤더슨공군기지와 북서쪽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군 2,168명, 가족 2,335명 등 총 4,50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 괌 군과 공군국가경비대가 군인 2,200명, 가족 3,000여명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오키나와에 있는 제3해병원정대원 8,000여명과 가족 12,000명 등 약 2만여명이 괌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2012년까지 순차적으로 이전을 마치게 되면 괌의 전체 군인 수는 약 4만2천명으로 현재의 두 배 가량 증가한다. 또 현재로서는 불투명하지만 주한미군의 이전 가능성도 있으며 앤더슨 공군기지에 특수정비요원들이 추가 배치될 경우 군인과 가족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미 해병대사령부의 괌 이전에는 총 10조원(10.27십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미군 당국은 밝혀왔다. 이 중 약 6조원(6.06십억 달러)는 일본 정부가 부담하고 나머지 약 4조원(4.18억 달러)은 미국 정부가 부담한다.
일본 정부가 부담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약 2조 8천억원(2.8십억 달러) : 병영시설, 사령부, 군행정청 건물, 학교등의 시설 건립 지원 예정
- 약 1조 5천억원(1.5십억 달러) : 군인 가족을 위한 주책 건설 회사에 투자하거나 임대료로 지원 계획
- 약 1.8천억원(1.79십억 달러) : 군인 주택의 건설, 임대료, 전기 및 하수도 시설의 건설 등과 같은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 은행으로부터 융자 형태로 지원 계획
- 약 1조원(1.0십억 달러) : 괌을 횡단하는 도로 건설에 투자
- 약 3조2천억원(3.18십억 달러) : 주둔군 훈련지, 활주로, 휴양시설 등에 투자 계획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런 예상 비용보다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향후 10년간 약 15조원(15십억 달러),연평균 약 1조 5천억원(1.5십억 달러)이 괌 지역에 투입될 것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미군 당국은 계획된 예산 중에서 Finegayan 지역의 해군을 위한 주택 건설에 예산의 대부분이 지출되고 Apra 항구, 남쪽의 앤더슨 공군기지, Naval Magazine 등의 시설에도 예산이 투자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미 제3해병원정대의 괌 재배치가 괌 지역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은 분명하지만 어느 정도가 괌의 민간 경제에 유입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가 않다. 또한 괌 지역 전문가들은 약 10조 ~ 15조에 이르는 미군 이전 비용 대부분을 미군이 지불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한다(AES Construction, INC, John K. Sherman 면담 결과임).
괌 정부는 괌의 인구가 2010년에 군인을 제외하고 약 18만명으로 현재에 비해 5.7%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에 따라 미군 기지 이전 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투자보다는 파생적인 투자 증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Investment Gu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괌 건설 사업 참여시 알아야 할 제도 (0) | 2008.04.29 |
---|---|
꾸준히 성장 예상되는 괌 경제 (0) | 2008.04.24 |
괌 경제 현황 - 관광 산업 발전 추이 (0) | 2008.04.24 |
괌 경제 현황 - 다시 늘어나는 괌 관광객 (0) | 2008.04.24 |
미군 이전에 따른 경제 호황 기대 (0) | 200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