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Guam
꾸준히 성장 예상되는 괌 경제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4. 24. 11:39
향후 괌 경제 발전을 계량화 하여 예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전문 기관 등에서도 발표한 수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괌의 실질적인 경제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며 인플레이션 또한 지속될 것이고 괌 전체의 실업률 또한 감소한다는 사실이다(First Hawaiian Bank, Economic Forecast, 2006.).
2002년 괌의 지역총생산량(GTP, Gross Territorial Product)은 약 3조 4천억원(3.4십억달러)였다. 여기에 미군의 이전을 고려하지 않고 3-4%의 성장을 가정할 경우 2007년에는 약 3조 9천억원(3.9십억 달러)이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08년부터 미군의 이전 계획에 따라 매년 약 1조 5천억원(1.5십억 달러)이 지출될 경우 2008년 괌의 경제 성장률은 38%를 기록하게 되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경우 약 20% 가량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군 이전을 위한 민간과 해외의 투자가 합쳐질 경우 괌의 경제 성장률은 예상 수치를 훨씬 상회할 전망이다.
2004년부터 괌 지역의 일자리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 그림예 따르면 2004년 이전에는 계속 마이너스를 보이다가 2004년에는 4.8%, 2005년에는 3%의 일자리가 증가했다.
괌 지역 일자리 증가 현황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관심있는 건설 및 개발 사업은 공공 공사의 경우 미군에 의해 발주되는 공사가 주류를 이룰 것이며, 개발 사업은 외국의 민간 개발업자들이 주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괌의 경제 성장으로 괌 지역 주민들의 소득 증가에 따른 주택 수요도 소득 증가에 따라 늘어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괌 경제의 활성화는 괌 지역의 경제 규모가 기본적으로 크지 않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건설 및 개발 업체들에게 크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2002년 괌의 지역총생산량(GTP, Gross Territorial Product)은 약 3조 4천억원(3.4십억달러)였다. 여기에 미군의 이전을 고려하지 않고 3-4%의 성장을 가정할 경우 2007년에는 약 3조 9천억원(3.9십억 달러)이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08년부터 미군의 이전 계획에 따라 매년 약 1조 5천억원(1.5십억 달러)이 지출될 경우 2008년 괌의 경제 성장률은 38%를 기록하게 되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경우 약 20% 가량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군 이전을 위한 민간과 해외의 투자가 합쳐질 경우 괌의 경제 성장률은 예상 수치를 훨씬 상회할 전망이다.
2004년부터 괌 지역의 일자리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 그림예 따르면 2004년 이전에는 계속 마이너스를 보이다가 2004년에는 4.8%, 2005년에는 3%의 일자리가 증가했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관심있는 건설 및 개발 사업은 공공 공사의 경우 미군에 의해 발주되는 공사가 주류를 이룰 것이며, 개발 사업은 외국의 민간 개발업자들이 주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괌의 경제 성장으로 괌 지역 주민들의 소득 증가에 따른 주택 수요도 소득 증가에 따라 늘어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괌 경제의 활성화는 괌 지역의 경제 규모가 기본적으로 크지 않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건설 및 개발 업체들에게 크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2007-13 / 연구위원 강운산 박사